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새해 <br>첫 일출을 보기 위해 유명 해돋이 명소에 인파가 몰렸습니다. <br> <br> 오랜만에 거리두기 없는 일출 행사라 어느 때보다 가슴 벅찬 순간이었는데요, 하지만 눈살 찌푸리게하는 모습도 곳곳에서 포착됐습니다. <br> <br> 아찔한 폭죽 놀이에 비양심적인 쓰레기 투기까지 저희 현장카메라에 잡혔습니다.<br> <br>강경모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매년 수십만 명이 새해 일출을 보러 오는 강릉 경포해변입니다. <br> <br>특히 올해는 3년 만에 마스크를 쓰지 않고도 해변 출입이 가능하고 다양한 행사도 열려 더 많은 사람들이 몰렸는데요. <br> <br>사람들이 몰리면 안전이 제일 걱정인데 분위기는 어떨까요. <br> <br>현장으로 가 보겠습니다. <br><br>무대 주변에 출입통제선이 설치됐고, 안전요원이 배치됐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이곳 광장에도 많은 또 자율방범대분들께서 고생해주시고 계시는데요. 여러분들 안전사고 없게 조심해 주시고요." <br> <br>새해 첫날을 맞아 경포에 15만 명, 정동진 5만 명, 안목 5만 명 등 강릉에만 30만 명이 찾았습니다. <br> <br>이태원 참사 이후 안전관리가 최대 화두가 되면서 해맞이 현장엔 공무원과 경찰, 소방 등 9백 명이 배치됐습니다. <br> <br>강원도도 어제와 오늘 이틀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습니다. <br> <br>[조용준 / 강릉시청 관광휴양담당] <br>"아무래도 안전 부분이 저희가 가장 신경을 많이 쓴 부분이고요. 교통체증 부분도 최대한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." <br> <br>해맞이객들도 대체로 안전수칙을 따르며 차분하게 행사를 즐깁니다.<br> <br>그런데 한편에선 폭죽놀이가 한창입니다. <br> <br>아이들이 있는데도 바로 옆에서 터뜨리기도 합니다. <br> <br>백사장에서 폭죽을 터뜨리는 건 불법. <br> <br>워낙 많은 사람들이 하다보니 과태료 부과는 커녕 계도하는 것도 힘겹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불꽃놀이 하실 때 불꽃이 튀면 위험하니까 바닷가 쪽으로 안 쪽으로 좀 부탁드릴게요." <br> <br>[이현수 / 경기 구리시] <br>"너무 가까우면 무섭죠. 불꽃은 서로서로 간격을 많이 두고 했으면 좋겠습니다."<br><br>새해 첫날, 해가 떠오르자 해변은 관광객들의 환호로 가득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새해 복많이 받으세요!" <br> <br>하지만 해맞이가 끝난 뒤 풍경은 영 딴판입니다. <br><br>해맞이를 마치고 돌아가는 차량들이 몰리면서 해변 인근 도로는 주차장을 방불케 합니다.<br><br>차량들은 옴짝달싹 못하고 마냥 서 있고, 급기야 중앙선을 넘어 역주행하는 차량까지 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이리로 오세요. 이리로 가세요." <br> <br>해맞이객들이 떠난 백사장, 쓰고 버린 폭죽부터 분리수거 안 된 쓰레기들이 한가득입니다. <br> <br>치우는 건 고스란히 주민들 몫. <br> <br>3년 만에 열린 행사는 좋지만, 쓰레기는 평소 10배 이상 늘었습니다. <br> <br>[김영하 / 주민] <br>"평소 (쓰레기량) 대비 한 10배되지, 10배. 좀 제대로 버려주면 좋은데, 그게 아직 안 되니까 문제지." <br> <br>새해 첫날 전국 곳곳에서 열린 해맞이 행사는 큰 사고 없이 마무리됐습니다. <br> <br>새해 첫날에 대한 설렘과 희망 속에 일부 해맞이객들의 무질서는 옥의 티로 남았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강경모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민석 <br>영상편집: 구혜정<br /><br /><br />강경모 기자 kkm@ichannela.com